일본에 와서 느낀 일본인은, 일본인 답다는 것인데,
그 사람들 중에 한국사람과 가장 닮아 있다는 오사카사람들, 그곳에 살고 있는 류큐진(오키나와의 옛 이름이 류큐다)을 만나러 가 봤다.
발을 들여 놓는 순간부터 이미 그곳은 일본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왼쪽부터 한국에서 여행온 박주영군, 10년지기 친구 유철환군, 나 ,(파티쉐, 베이커겸, 설탕공예가)여튼 빵쟁이 김환진군. 테이블에 올라온 안주는 모즈크텐뿌라(해초튀김), 나베라. 술은 쟌쿠로
오키나와 음식점과 술집에서는 대체로 이런분위기의 참프루(볶음)류의 음식들을 먹을 수 있다. 본토음식과는 확연한 차이를 느낄 수 있다. 위 음식은 고야참프루. 맛은 담백하면서 씁쓸하기도 하고 참프루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근 2년만에 만나는 친구를 위해서 카즈(カズ...한자는 모르겠다_28세) 가 샨신을 연주해 주었다. 아래의 영상을 잠깐 보시라. 샨신이란 악기의 소리, 그리고 산신까페의 분위기를 알 수 있다.
왼쪽부터 가자(이름이다), 환진군. 수요일에 자기가 쉬니까 그때 한잔 하자고 했지만,,우리가 화요일에 도쿄로 돌아가봐야 해서 다음을 기약했다.
나다소오소오(なだ‘そおそお_눈물이 주룩주룩) 이란 곡이다. 유철환군의 목소리로 감상...하고는 싶지 않지만...술도 마셨겠다 분위기도 좋겠다..그냥 듣자..ㅋ(미안하다..)
위에서 본 산신이라는 악기. 오키나와 전통악기인데 뱀의 껍질로 울림통을 장식한다.
대당 350만~1000만원 가량 한다.
여기 지도에서는 일본에 가깝게 나와있지만 실제로는 일본본토보다 대만, 인도네시아에 더 가까운 곳이다. 위 사진을 보아서 알 수 있지만, 오키나와사람들은 일본사람들과는 약간 다르게 생겼다.
그렇게 산신까페에서 한참을 놀다보니 새벽 3:00가 되어 문을 닫을 시간이 되었다. 걸어서 10분거리에 있는 즈미에 가기로 했다. 즈미와 산신까페는 같은 사장이 운영하는 가게 인데, 산신까페 스탭들은 마감을 하고 즈미로 가서 계속해서 일을 한다.
그렇게 즈미로 달려가 또다시 이놈의 오리온비르(맥주)와 함께 또 달린다. 한국인왔다고,,매운것 잘먹는 다고,,Death 라는 죽음의 소스를 준비해준 구우상(사장)에게 감사한다...속이 뒤틀릴정도로 매웠다..그걸 게임의 벌칙으로 찍어먹고 놀았다...
오른쪽에 붉은 색 티셔츠에 흰수건을 머리에 두르고 있는 사람이 구우상(사장님...).딸내미 베스트프렌드가 가수 YUI 라고,,,집에 자주 놀러온다고 한다.
현재시간 아침 7:00.... 이놈의 스탭들은 지치지도 않나..언제나 저렇게 건강한 웃음을 보여준다.
...정말 떡이 되도록 먹고 마셨다. 술을 마실때 분위기 만으로 즐거워 지는 곳은 정말 오랜만이었다. 이곳이 일본이건, 내가 한국인이건, 내가 일본어가 서투르건 그건 정말 티끌만큼도 신경쓰이지 않을 만큼 말이다.
그 사람들 중에 한국사람과 가장 닮아 있다는 오사카사람들, 그곳에 살고 있는 류큐진(오키나와의 옛 이름이 류큐다)을 만나러 가 봤다.
발을 들여 놓는 순간부터 이미 그곳은 일본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나다소오소오(なだ‘そおそお_눈물이 주룩주룩) 이란 곡이다. 유철환군의 목소리로 감상...하고는 싶지 않지만...술도 마셨겠다 분위기도 좋겠다..그냥 듣자..ㅋ(미안하다..)
대당 350만~1000만원 가량 한다.
...정말 떡이 되도록 먹고 마셨다. 술을 마실때 분위기 만으로 즐거워 지는 곳은 정말 오랜만이었다. 이곳이 일본이건, 내가 한국인이건, 내가 일본어가 서투르건 그건 정말 티끌만큼도 신경쓰이지 않을 만큼 말이다.